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도입된다고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요.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실제 운전면허증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제6차 신기술. 서비스 심의위원회를 열고 11건의 규제 샌드 박스 지정 여부를 심의한 결과,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비롯한 10건에 대해 임시 허가와 실증 특례를 지정했다고 밝혔습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기존 플라스틱 카드 형태의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은 사람이 이동통신사의 모바일 본인 인증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신청, 등록한 모바일 운전면허증에 대해 기존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효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임시허가를 신청했습니다.
심의위원회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에 대해 실제 운전면허증과 같은 효력을 갖도록 신청기업별로 임시허가를 부여했습니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고나은 ' 국내 최초로 전자 신분증이 지정된 것으로 지갑 없는 시대를 앞당기고 개인신분 확인 관련 부가 서비스 제공이 확대될 수 있을 것' 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현행 도로교통법엔 모바일 운전면허증 신청. 등록 및 효력에 관한 규정이 없어 과거엔 관련 서비스 출시가 어려웠는데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 개인정보 유출 방지, 위변조 방지, 행정서비스 장애 방지 등의 체계를 갖춘 후 신청 기업이 사업을 개시할 예정' 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기존 플라스틱 카드 형태의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은 사람은 이동통신사의 본인 인증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신청, 등록할 수 있고 이를 기존 운전면허증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이용하면 운전면허증을 휴대할 필요가 없어져서 편리할 것 같은데요. 운전면허증 제시가 필요한 경우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실물 운전면허증 분실 방지로 인한 범죄 예방, 재발급 비용 절감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는데요. 운전면허 적성검사 알림 등 모바일 운전 면허증과 연계한 고지 기능도 활성화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시행 시기는 내년초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앞으로 스마트폰 하나로 편리하게 모든걸 이용할 수 없는 지갑 없는 시대가 얼마 남지 않은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