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업무로 인해 야근을 하는 직장인들이 많은데요. 직장인 혹은 아르바이트생인 경우에는 꼭 알아두어야 할 야간수당은 근로자라면 누구나 누려야 하는 당연한 권리 입니다.
그러나 많은 분들이 야간수당 계산방법을 잘 몰라서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야간수당 계산방법을 쉽고 편리하게 계산하는 야간수당 계산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근로기준법을 보면 근로시간은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며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위에서 정한 근로시간을 제외하고 업무시간이 끝난 오후 6~ 오후 10시 사이는 연장근로수당으로 정의가능하며, 오후 10시~ 다음날 오전 6시까지는 야간 수당으로 지급됩니다.
야간수당 계산방법은 통상 임금의 50%를 더하여 지급하는데요. 여기에서 통상임금은 각종 상여금과 수당을 포함하여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시급, 주급, 월급의 고정적 임금을 말합니다.
야간수당 계산방법은 야간수당 = 야근시간 × (통상임금/209)×1.5 입니다.
예를 들어 통상임금이 200만원인 근로자가 한달동안 20시간의 야근을 했다면 약28만7천원의 야간수당을 받아야 합니다.
아르바이트생은 받을 수 있는 알바가 있고 받을 수 없는 알바가 있는데요. 야간수당은 일하고 있는 곳에 상시근로자가 5인 이상인 곳에만 적용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5인 미만인 사업장은 야간수당과 휴일근무수당 모두 적용되지 않습니다.
야간수당 계산방법이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야간수당 계산기를 이용해서 편리하게 야간수당을 계산해볼 수 있는데요. 야간수당 자동 계산기 사이트를 통해서 야간수당 계산방법을 잘 모르시는 분들도 시급과 근무시간만 입력하면 쉽게 야간수당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야간수당 계산기 링크 첨부해드리니 사용하시면 좋으실것 같습니다.
야간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http://salary.fpvhxm.com/nightcal.html
바쁜업무로 인해 어차피 해야되는 야간근무라면 야간수당을 꼭 챙겨가야 하는데요. 야간수당은 앞서 언급했듯이 근로자의 권리이기 때문에 야간수당 계산방법을 미리 숙지하신후 불이익을 받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